본문 바로가기
복지지원 혜택

정규직 전환 보조금 종류별 특징 (2025년 제도, 대체지원책, 비교 분석)

by 머니스토어2022 2025. 3. 17.
정규직 전환지원금
2025년 정규직 전환지원금

 
정규직 전환은 기업의 인재 확보와 고용 안정성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입니다.
정부는 그동안 비정규직 → 정규직 전환 기업에 다양한 인건비 보조금을 지원해왔지만, 2025년 현재 일부 제도는 폐지되거나 통합 개편되었습니다.
저희 기관에서는 2024년에 혜택을 받았었는데 이번에 문의사항이 있어서 고용24로 전화를 했더니 기존 신청까지는 지급이 되는데 추가 신규신청이 안된다고해서 확인을 해 보았더니 개편된 부분이 있더라구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정규직 전환 관련 보조금의 운영 현황, 대체 가능한 지원금 종류, 각 제도의 특징과 차이점을 상세하게 비교 분석합니다.

2025년, 정규직 전환 지원금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 2024년까지 운영되던 ‘정규직 전환 지원금(고용안정장려금)’은 2025년부터 신규 신청 종료되었습니다.
기존 수혜 사업장은 잔여 지원기간 내 계속 수령 가능하며, 이후 대체 제도로 전환되었습니다.

대체 가능한 2025년 정규직 전환 보조금 종류

고용창출장려금청년·중장년 정규직 신규채용 시 인건비 지원최대 2년간 지급, 직무교육 연계
청년내일채움공제청년 정규직 채용 시 정부·기업·청년 공동 적립장기근속 유도, 자산형성 목적
직무훈련지원금정규직 채용 후 훈련 참여 시 훈련비·수당 지원인력 양성형 지원제도
일학습병행제채용연계 직무교육, 고용·훈련 동시지원사업장 컨설팅 및 비용 보조 포함
고용장려금(지자체)정규직 고용유지 시 사업장별 인센티브지자체 공고별 신청

정규직 전환 보조금별 비교 분석

지급방식기업 인건비청년 개인적립훈련비+수당훈련비+운영지원
대상중소·중견기업만15~34세 청년채용자 중심기업+근로자
지급기간최대 2년2~3년훈련 기간훈련 완료 시까지
특징고용 중심청년 유입역량 개발고용+교육 연계

실무자가 알아야 할 지원제도 활용 팁

  • 사업장 상황에 맞는 제도 선택
  • 지자체 고용장려금은 별도 공고 확인
  • 중복 수혜 제한 주의
  • 고용유지 조건 미충족 시 환수 가능
  • HR컨설팅 또는 고용센터 연계 추천

결론: 제도는 바뀌지만, 정규직 전환은 여전히 혜택 대상입니다

정규직 전환 지원금 제도는 종료되었지만, 정규직 고용을 지원하는 다양한 보조금과 장려제도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중소기업이 적절한 제도를 선택해 인건비 부담을 줄이고, 우수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전략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지금 바로 고용센터 또는 HR컨설팅 기관을 통해 우리 기업에 맞는 맞춤형 보조금을 확인해보세요.